工夫/인생공부2013. 7. 2. 21:32
- "가능하면 짧고, 완전한 문장으로, 자신 있게 말하라!"-

영어로 말을 잘 하는 사람은 많지만 글까지 잘 쓰는 사람은 드물다. 게다가 친구끼리 주고받는 e-메일이 아닌, 고급 신문이나 잡지에 칼럼을 쓰는 것은 미국인도 어려워하는 일이다.한승주 고려대 정외과 교수(62세·전 외무부 장관)는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에 영어 칼럼을 10년간 연재한 ‘고급 영어’의 달인이다. 한 교수의 글은 문장 전개가 조리 있고 간결하다는 평을 듣는다. 이는 신문·잡지에 실린 좋은 글을 많이 읽고 따라 써 본 덕이다.한 교수가 고등학교 다닐 때 두 달간 미국으로 연수갈 기회가 있었다. 한국 대표로 선발됐을 만큼 영어가 수준급이었지만, 막상 현지에서는 식당에서 주문도 잘 못해 쩔쩔매야 했다. 그 충격으로 영어 공부에 더 열심히 매진했고, 대학생 때는 국제방송국 영어방송 기자로 활약했다. 그 때 논리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마감 전에 빨리 쓰는 훈련을 많이 해서, 훗날 유학을 가서도 ‘쓰는 과제’만큼은 식은 죽 먹기였다고 한다.한 교수는 “미국에서는 학교에서 쓰기 훈련을 철저하게 시키는 반면, 우리나라는 영작문은 물론 우리말 작문 훈련도 부족하다”라고 지적한다. 글을 잘 쓰기 위해선 좋은 글을 많이 읽고, 많이 써 보는 게 가장 필요하다는 얘기. 좋은 글은 간결하면서도 주제가 명확히 전달되는 글이다.“뉴욕타임스에 기고하면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에 보통 3분의 2 정도로 요약돼서 실렸습니다. 내가 쓴 글과 실린 글을 비교해 보면서 어떤 게 군더더기였는지 깨닫곤 했지요.”외무부 장관을 역임한 한 교수는 ‘고급 영어 회화’에 익숙하다. 정치가는 좀더 친근한 말을 쓸 수도 있겠지만, 외교관이 ‘going to’를 ‘gonna’라고 한다든가, ‘휴머(hu- mour)’를 ‘유머’라고 발음하면 상대방이 속으로 무시한다고 귀띔한다. 특히 일본인들이 많이 쓰는 ‘프랭클리 스피킹(frankly speaking)’이라는 표현은 ‘그럼 지금까지는 솔직하지 않았나?’하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영미권에서는 거의 쓰지 않는다고 한다.종종 ‘우리말보다 영어가 더 유창하다’는 말을 듣는 한 교수는 지금도 여행을 갈 때면 늘 사전을 챙긴다. 말할 때 우리말보다 영어 표현이 먼저 떠오를 정도로 ‘영어로 생각하는 습관’에 푹 젖어 있다는 한 교수. 미래의 외교부 장관을 꿈꾸는 젊은이들을 위한 그의 세 가지 조언은 간단하다.“가능하면 짧고, 완전한 문장으로, 자신 있게 말하라!”

 

Posted by 사천짜장
工夫/인생공부2013. 7. 2. 21:30
첫째, 꿈의 목록을 만들어라.

꿈의 목록이란 자신이 가장 하고 싶어하는 목표들을 말한다. 그것을 글로 써서 하나의 문장으로 만들어 놓아라. 이것을 먼저 해야 다음 단계로 넘어 갈 수 있다.

둘째, 五 起 모임에 등록하라.

간단하다. 당신의 자명종 시계를 5시에 맞춰 놓으면 된다. '일찍 일어나는 새가 먹이를 많이 잡는다'라는 속담이 있다. 오기로 하면 五起를 하라. 필자는 이것을 '五起論' 이라고 한다. 성공하는 CEO의 특징 중 하나가 바로 일찍 일어나는 습관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자면 TV는 끄고, 일찍 잠자리에 들어라.

셋째, My Day를 운영하라.

일주일 중 하루는 자신을 관리하는 날로 정해 놓고 한 주를 치밀하게 계획하는 데 투자하라. 가령 토요일 오전이나 오후를 택해 다음 주를 짜임새 있게 구성하는 데 적극적으로 투자를 하라.

넷째, Weekly Organizer 즉 주간계획표를 사용하라.

한 주는 168시간이다. 이것을 어떻게 요리해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것인가를 이곳에서 연구하고, 배분하라. 특히 영업을 하시는 비즈니스맨에겐 필수 도구이다.

다섯째, 성공서적 리스트 52를 만들어라.

1년이면 52주이다. 성공서적 읽기에 도전하라. 그래봤자 52권밖에 읽질 못한다. 한 주간지가 억대 연봉을 받는 슈퍼샐러리맨의 습관을 조사한 바 있다. 이들은 1주에 한 권의 책을 읽는 것으로 나타났다. '1週 1讀'에 한번 도전해보아라.

여섯째, '매직 넘버 6' 를 실천하라.

베들레헴 강철회사 사장 찰스 스왑은 늘 정신없이 바빴다. 그래서 한 경영컨설턴트를 만나 시간을 절약하는 방법을 물어 보았다. 그 경영컨설턴트는 찰스 스왑 사장에게 "내일 할 일을 여섯 가지만 적으세요.

소중하고 급한 순서대로 번호를 매기십시오. 그래서 순서대로 일을 처리하십시오. 혹시 뜻하지 않는 일이 생기면 급하고 소중한 순서대로 처리하십시오." 라고 처방을 내렸다고 한다. 찰스 스왑은 이 처방전대로 일을 처리했고, 물론 업무성과가 오르고 하루하루 생활이 보람찼다고 한다.

그래서 매직 넘버 6가지를 선정해 우선 순위를 정하고 이를 실천해가라.

일곱째, 매일 셀프 토크(Self-Talk)를 하라.

이것을 전문가는 'Pep-Talk'이라고도 한다.(Pep:원기, 활력이라는 뜻) 그러니까 매일 긍정적인 말 원기와 활력을 주는 말을 당신에게 던져라. 가령 나는 최고다, 나는 프로다. 나는 열정적이고 긍정적이다. 나는 성공한다, 나는 행복하다, 나는 매일 나아진다 등등...
이것으로 성공클럽에 가입하는 게 끝났다. 자, 가입했으면 이젠 시작하라. Just Do it.

 

Posted by 사천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