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 요약이라는데.
2.
책 요약이라는데.
2.
창업 오도(그릇된 길) : 신규 아이템 + 유행업종 x 독점사업 = you亡사업 |
1. 첫째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여야 한다. |
시간은 돈을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아이템이다. |
현대인은 누구나 시간을 쪼개고, 늘려서 쓴다. |
그만큼의 틈새와 신규시장이 있다는 것이다. |
컴퓨터도 그렇고 교통수단도 그렇고 거의 대부분 성장세, 또는 잠재력이 |
엄청난 것이 바로 타임리치의 고부가가치 영역이다. |
2. 둘째는 환경친화산업이어야 한다 (그린리치). |
재활용이 가능하고 공해나 소음, 오염물질이 없는 제품이나 |
서비스여야만 마켓팅이 가능한 세상이다. 자연환경은 만들 수도 |
디자인 할 수도 없는 가장 중요한 우리의 삶의 본지이므로 이에 |
반하는 아이템은 애초에 기획을 하지 말아야 한다. 답이 뻔하므로. |
3. 셋째는 창조산업(크레비즈)이어야 한다. |
이것은 재삼 얘기할 필요가 없다. 가격 결정력이 없는 제품이나 사업은 |
그만큼 치열하고 격렬한 경쟁을 해야하며 이는 성장에 크나큰 짐이 |
된다. 무거운 돌을 들어올릴 수 있는 지렛대가 바로 창조력이다. |
4. 넷째는 감성 디자인의 시대(디자인리치)이다. |
똑같은 기능, 아니 기능은 약간 뒤떨어져도 구매자(소비자)의 감성과 |
만족도에 소구하는 제품은 살아남을 것이다. 디자인의 가치와 위력은 |
오늘의 정보화 시대에서도 더욱 위력을 발휘할 것이며, 이미 우리 |
주변에 알게 모르게 다가와 있는 것이다. |
5. 다섯째가 문화산업이어야 한다. |
정보나 호기심, 재미, 유행성을 다른 말로 하게 되면 바로 문화다. |
문명의 정점을 넘어서고 있는 지금 우리는 문화와 갈증과 욕구가 |
그 어느 때보다도 강하다. 그래서 음악과 영상, 문화 산업이 그만큼 |
열띤 호응을 받고 부가가치가 놓은 것이다. |
문명화 될수록 문화에의 욕구는 비례하여 커진다. |
그외에 중요한 키워드는 건강보조 의약품이나 서비스, |
호기심이나 새로운 기능의 제품이나 서비스 등도 시장성이나 발전 |
가능성이 크다. |
위에서 간략히 다룬 다섯 가지중 필히 한 가지 정도 가능하면 두세가지 |
정도는 있는 사업 아이템이나 장사 아이템일 때 보람과 수익성이 |
짭잘한 재미나는 내 사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
특히 사업이나 장사 아이템을 선정할 때 유행성에 기초한 제품이나 |
아이템은 유행이 지나면 생명력이 다하게 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
유행은 유행일 뿐…….. |
무엇보다도 사업이나 장사나 연애는 단순명료하게 하는 것이 좋다. |
하느냐? 마느냐? 시작은 바로 루비콘을 건넌 것. |
이제부터 무엇을 하든 힘내서 신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