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工夫'에 해당되는 글 228건

  1. 2014.02.11 위폐 감별 전문가 서태석
  2. 2014.02.11 이종규
工夫/인생공부2014. 2. 11. 05:43

1.

위폐감별 전문가 서태석씨 이야기다.

자신만이 할 수 있는 특수한 전문분야... 필요하다. 나는 그런 것이 있는가? >> 없다.  만들자. 

 

 

 

 

 

 

 

 

2.

 

“입시와 성공은 별개의 문제”


위조 지페 감별 전문가 서태석


“이아이는 기대할 것이 없습니다. 교실에 있으면 다른 아이들이 방해를 받으니 학교에 보내지 않았으면 합니다.” 한 아이의 학교 담임 선생이 부모에게 보낸 편지의 일부다. 그 아이는 선생님의 생각대로 처음 입학하려던 대학에서 여러 번 떨어졌다. 그 유명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어린 시절 일화다.

좋은 대학에 갈 수 있으면 좋다. 세칭 일류대 졸업생이 누리는 특혜 즉 ‘일류대 프리미엄’은 한국뿐만 아니라 모든 나라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이다. 그러나 일류대를 나오면 성공한 인생이 보장되는가, 혹은 일류대에 들어가지 못하면 실패한 인생이라고 할 수 있을까. 일류대는커녕 대학 문을 밟아 보지도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성공한 인생을 살고 있는 인생 선배들의 대답은 ‘글쎄’다.


|예순 나이에도 은행서 붙잡아 재계약|

최근 외환은행 광고에 출연해 귀신 같은 솜씨로 위조지폐를 골라내는 장면을 선보인 외환은행 서태석(60) 부장의 학력은 중학교 중퇴. 회사 광고에 출연해 외환은행을 대표하는 인물로 떠오른 서 부장은 변함없이 바쁘다. “죄송합니다. 이제 강의가 끝나서요. 요즘 동남아에서 고액권 위조지폐가 쏟아져 들어오는 통에 강의 요청이 많아 저도 정신이 없습니다.” 국내 최고의 위폐감별사로 손꼽히는 서 부장은 자신이 몸담고 있는 은행뿐 아니라 다른 은행까지 달려가 강의를 하고 있다.

2000년부터는 미국 연방수사국(FBI)과 비밀수사국(USSS)으로부터 위조지폐 정보교환요원을 위촉 받아 활동하고 있다. 그는 세계적으로 이름난 위폐감별사다.

고향이 경북 영천인 서 부장은 “뭐 1960년대 시골에서 공부를 하면 얼마나 했을까? 솔직히 말해 공부에는 별로 관심이 없었을 뿐 아니라 오로지 노는 데만 정신이 팔려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1964년 입대한 미7사단에서 카투사 경리병으로 근무하면서 우연히 미군 장교로부터 위조지폐 감별법을 배웠다.

그는 1969년 일용직으로 외환은행에 입사했다. 당시 은행은 최고의 직장이었다. 서 부장은 “주위에서 ‘중학교도 제대로 못나온 녀석이 어떻게 은행에 들어왔냐’고 놀림을 받았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그러나 위조지폐감별기도 제대로 찾아 내지 못하는 위조지폐를 찾아내는 솜씨에 감탄한 은행측은 결국 1974년 서 부장을 정식사원으로 전환 채용했다.

30대에 명예퇴직을 강요당하는 세상이지만 올해 나이 예순인 서 부장의 경우는 다르다. 은행은 서 부장을 풀어주려 하지 않는다. 서 부장은 은행측의 요청으로 2번이나 계약을 연장해가며 일하고 있다.

“좋은 대학을 나왔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장점이지만 대학에서 위조지폐 감별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지는 않습니다.” 서 부장은 “사회에서 인정 받기 위해서는 스스로 개발한 실력으로 승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학교에서 배운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실제로 몸으로 익힌 능력이 인생을 결정한다는 이야기다.

 

Posted by 사천짜장
工夫/인생공부2014. 2. 11. 05:40

1.

이종규씨 이야기. 지금은 무엇을 하고 계실까?

롯데삼강이 저런 시절도 있었구나. 항상 잘나갔던 회사인 줄 알았다. 

경리, 회계 분야에서 능력을 키워야 한다.

내게 필수적이다. 당장 시작하자.

 

 

 

 

2.

학력과 학벌을 극복한 사람들의 사례




이종규 부산롯데호텔 사장
“인생은 목표를 잘게 썬 꿈을 하나씩 이루어나가는 과정이라고 봅니다. 꿈이 없다면 무슨 의미로 살아갑니까.”

㈜호텔롯데부산의 대표이사인 이종규(李鍾奎ㆍ58) 사장은 고졸학력으로 상장사 CEO에 오르기까지 매순간 꿈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 사장의 성공신화는 몸에 밴 성실과 노력을 빼놓고는 말할 수 없다.

자서전 ‘인생은 공짜가 없다’에서도 그는 “월급쟁이로 인생의 길을 걸어오면서 성공에 연연하지 않았고 다만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 하며 내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살려고 노력했을 뿐이다”고 말하고 있다.

이 사장은 경남 창영에서 6남매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홀어머니 밑에서 어린시절을 보냈다. 숙명과도 같은 가난 속에서 ‘

꿈을 갖는다는 것’은 감히 꿈도 꿀 수 없는 처절한 상황이었다. 농사꾼이 되겠다는 어머니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초등학교를 다니면서부터 나무지게를 져야 했고,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졸업할 때마다 1년씩 쉬며 농사일을 도와야 했다.

그런 가운데서도 그는 결코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 ‘상업학교를 나오면 취업이 쉽게 된다’는 주변의 말에 무작정 도시(마산)로 달려가 상업고등학교에 원서를 넣었다.

고등학교 생활부터 그의 성실과 노력은 꿈을 이루는 원동력이 되기 시작했다. 교내 은행업무를 돕는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한푼두푼 모아 학비를 대고, 수학여행을 포기한 돈으로 주판을 마련해 주산기능시험에서 1급자격을 따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군에 입대한 그는 “먹고 자는 걱정없이 지낼 수 있어 참으로 행복했던 시절이었다”고 회고했다.

제대 직후 1968년 6월 입사한 롯데제과는 그의 꿈이 한껏 피어난 본무대였다. 상고를 졸업한 경력으로 그는 경리부에서 회계장부와 씨름하면서 13년의 세월을 보냈다.

돈이 아까워 담배를 피지 않았고, 시간이 아까워 다방출입을 하지 않았을 정도로 자기절제에 철저했다.

원칙대로 일을 처리하고 시종일관 성실한 자세로 일한 대가로 그는 입사 21년 만에 이사직에 오를 수 있었다.

한때 큰 시련도 겪었다. 이사로 승진한 지 2년째 되던 1991년 그는 23년 다닌 회사에 사표를 써내야 했다. 시장전망을 논의하는 경영회의 석상에서 사장의 무리한 주장을 정면 반박한 것이 문제가 되어 타의로 사표를 낼 수밖에 없었던 것.

그러나 그는 좌절의 순간에도 결코 꿈을 버리지 않았고, 그런 그를 신준호 그룹 부회장이 다시 받아들여 호텔롯데 상임감사로 복귀할 수 있었다.

고졸 출신의 말단사원으로 회사생활을 시작한 지 30년 만인 1998년 그는 샐러리맨들의 최고 꿈인 CEO(최고경영자) 자리에 오른다.

그에게 맡겨진 회사는 연간 93억원의 적자를 내고 있던 롯데삼강. 꿈을 이뤘다고 생각하는 순간부터 그는 다시 꿈에 도전할 수밖에 없었다. “대학 문에도 가보지 못한 밑바닥 사원으로 입사해 대표이사라는 최고의 자리에 올랐으니 개인적으로는 더 이상 바랄 게 없었습니다.

주어진 회사를 초일류의 정상기업으로 만들어 그룹에 보답하고 명예롭게 은퇴하면 된다는 생각이었죠.’ 그런 각오로 노력한 4년간 성적은 합격점을 받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2000년 회사는 300억여원의 흑자로 돌아섰고 부채비율은 2,000%에서 71%로 낮아졌다.

올해 3월 호텔롯데부산의 대표이사로 자리를 옮긴 그는 33년의 회사생활을 이제 마무리하는 심정처럼 마음을 비우고 있지만, 노력과 성실성만은 여전하다.

이 사장의 집무실에는 일반 직원들이 쓰는 것과 똑 같은 책상과 의자가 놓여있다. 평사원시절처럼 일에 대한 열정을 지켜나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한결 같은 그의 성실성은 신체에 남다른 ‘훈장’을 남기기도 했다.

“엉덩이 양쪽에 시커멓게 멍든 굳은살이 있습니다. 일에 파묻혀 지낸 탓인데 직장생활 33년에서 얻은 훈장이 아니겠습니까”라며 그는 환한 웃음을 지어보였다.

이 사장은 요즘 롯데부산이 아시안게임의 공식호텔로 지정돼 더욱 눈코뜰새 없이 바쁘다. 호텔방의 절반을 채워줘야 하는 일본인 관광객을 유치하는 일도 그가 직접 나서서 챙긴다.

“기본에 충실하고 원칙을 지키며 작은 것을 실천하는 데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33년 회사생활의 다짐을 꾸준히 지켜나갈 것”이라는 그가 이제 또 어떤 꿈에 도전할 지 지켜볼 일이다.


■이종규사장은 누구


1944년 경남 창영

1965년 마산상고 졸

1968년 롯데제과 입사

1989년 롯데제과 이사

1997년 롯데삼강 대표이사

2002년 호텔롯데부산 대표이사

 

Posted by 사천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