工夫/인생공부2013. 7. 5. 14:53

1.

역경이 있을 때 진보할 수 있다는 취지인 것 같은데. 그럼 구글이나 기타 세계적 IT 기업의 직원들 복지는 뭐냐?

스키너 실험에 대해 찾아봐야겠다.

 

 

 

 

 

 

 

 

 

 

2.

 

진보의 법칙

스키너가 실시한 유명한 실험이있습니다.
그는 A반에 50명, B반에 5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습니다.
A반 사람들에게는 아주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골프를 치고 싶어하면 치게 했고,
최고급 요리를 원하면 먹여 주었습니다.
음악을 듣고 싶어하면 듣게 했습니다.
B반에는 말로 다 할 수 없는 나쁜 환경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무엇을 하려고 해도 제대로 할 수 없는 악조건의 환경이었습니다.
6개월 후에 성과를 조사해보니 A반 50명은 밤낮 누워서 뒹굴기만 했습니다.
그러나 B반 50명은 여러 가지 새로운 아이디어를 궁리해냈습니다.

당신의 상황은 지금 어떻습니까?
역경에 처할 때 진보할 수 있다는 법칙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오인숙
(교단작가)

 

Posted by 사천짜장
工夫/인생공부2013. 7. 5. 14:51

1.

중국 초딩들이 '사업'을 한다는 기사다.

 

내가 중학교 1학년 때인 것 같은데, 당시 pc 통신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게임들을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었다(아주 쉬운 건 아니었다. 엄청나게 모뎀 속도가 느렸고, 1메가 좀 넘는 게임을 받는데도 1시간이 넘게 걸렸으니까. 전화비도 많이 나오고). 그래서 게임 목록을 만든 다음 반 아이들한테 copy 해 주겠다며 돈을 받았었다.

 

당시 중1에게는 꽤 큰 돈이 모였던 것 같다. 카피를 실제로 많이 해줬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해 준 경우도 있고 카피하기 귀찮아서 그냥 돈 돌려줬던 기억도 있고... 하여튼.

 

아이들이 어렸을 때부터 돈돈 거리는 것이 예뻐보이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지만, 분명히 경제감각은 어렸을 때부터 키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내 자식 잘 키워보자.

 

 

 

 

 

 

 

 

 

 

2.

 

 

 

중국인들은 새해 인사가 꿍시빠차이(恭喜拔財:돈 많이 버세요)일 정도로 돈을 너무너무 좋아한다. 비록 사회주의 건국 이후 그 유별난 기호가 잠시 변한 것처럼 한때 보였지만 천만의 말씀. 요즘 중국인들의 돈 벌기 작전은 상상을 초월한다.
.
옛날엔 퇴근종이 땡 하자마자 일이 남았건 안남았건 ‘나는 모른다∼’하고 쏜살같이 집으로 튀던 사람들이 부업까지 마다않고 한푼이라도 더 벌려고 악착이다. 마치 우리나라의 70∼80년대처럼. 한 마디로 ‘요즘 중국에서 가장 맛있는 요리는 돈이다’라는 우스개처럼 돈맛이 최고라는 걸 이제 안 거다.
.
이런 중국에서 마침내 초등학생들이 창업을 하고 대거 취직도 하는 기상천외한 사례까지 등장했다. 한국에선 그저 코흘리개 철부지로만 여기는 초등학생들이 창업을 하고 돈을 번다는 게 놀랍지 않은가. 필자는 이게 중국식 자본주의의 저력이라고 나름대로 분석해본다.
.
중국 남서부 쓰촨(四川)성의 청뚜(成都)시에서는 이런 류의 회사(?)가 눈만 뜨면 생기고 있어 골치다. 누가 골치 아프냐고? 그야 잘 나가는 아들을 둔 부모님과 선생님들이다. 부모님들은 일단 꼬마사장들에게 투자비(용돈)를 크게 대야 하니까, 선생님들은 꼬마사장들 때문에 기존의 학생들 위계질서가 문란해지니까 각각 걱정이란다.
.
그 실례를 보자. 올해 11살밖에 안 되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이 학교에서 ‘사장’ 노릇을 하며 2명의 ‘비서’와 3명의 ‘경호원’을 고용하고 매일 ‘택시’를 타고 등교한다. 잘되는 회사일수록 고용인도 많고 사업 항목(?)도 다양하다.
.
먼저 용돈을 밑천으로 ‘회사’를 만들고 ‘사장’이 된 학생은 제일 먼저 ‘비서’와 ‘경호원’을 고용한다. ‘비서’는 성적이 우수한 여학생들이 담당하고 ‘사장’을 도와 숙제를 해주며 ‘사장’은 매주 7∼8위엔(한국돈으로 1천원쯤 된다)의 ‘주급’을 이들 비서들에게 지불한다. ‘경호원’은 신체가 건강한 남학생이 맡는데 교실 안과 학교를 오가는 길에 ‘사장’의 안전을 책임진다. 또 ‘사장’의 마음에 들지 않는 학생이 있으면 ‘경호원’이 나서서 적당히 손을 봐준다.
.
이들 ‘경호원’의 ‘주급’은 육체노동인 것을 감안해 보통 5∼6위엔으로 ‘비서’보다 약간 싸다. ‘택시’는 매일 학교 문 앞에서부터 교실까지 ‘사장’을 업고 다니는 학생을 말하는데 한 번 업는데 5각(0.5위엔, 한국돈으로 70원쯤 된다)의 ‘택시 값’을 받는다.
.
이 곳에서도 단순노동과 정신노동의 부가가치는 엄격히 구분된다. 어린 학생들 사이에서도 공부 잘하는 ‘비서’가 힘만 있는 ‘경호원’보다 더 많은 돈을 버는 게 자연스레 인정되고 있는 셈이다.
.
이들 ‘비서’ ‘경호원’ ‘택시’ 등은 학생들 사이에서도 취업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만약 ‘비서’가 ‘사장’의 숙제를 틀리게 하면 ‘사장’은 ‘주급’의 일부를 공제하거나 아예 해고하고 다른 여학생을 새로 임명한다. 실력 없는 ‘비서’는 돈을 벌 기회를 잃게 되는 것이다.
.
더 가관인 것은…. 사실 ‘사장’이 자기 돈만 내서 회사를 경영한다면 당연히 망하기 마련 아닌가. 그래서 그 꼬마사장들이 꾀를 냈다. 나중에 들리는 말로는 꼬마사장들이 벌써 ‘비서’를 시켜 고객(?)이 숙제하는 걸 도와주고 수수료를 챙기거나 아예 다른 회사에 파견해주는 사업도 벌이고 있단다. 요즘 말로 사업 다각화에 나선 것. 기자는 이 말을 듣고 놀라기보다 감탄했다. 아이들이 소꿉장난하듯 회사를 만들 수는 있다. 그러나 이토록 ‘찐하게’ 자본주의 경제원리를 체험하기가 어디 쉬운 일인가.
.
이런 애들이 자라서 진짜로 돈을 벌겠다고 국제무대에 나서면 중국 경제는 어떻게 될까? 상상키 어렵다. 그렇지만 지금 소개한 소식은 중국전문잡지 ‘敎師報’에 난 진짜 실화다. 이게 중국이다.

Posted by 사천짜장